



탄산 막걸리, 전통주 브랜드 개발을 위해 우선 C.I, B.I, LOGO(로고) 디자인 개발은 했습니다.
클라이언트사에서 한국 막걸리(Rice wine)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싶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어 너무 한글만 고집하진 않았으면 좋겠다~! 라고 의견을 주셔서 한국적 이면서 글로벌 브랜드로 많은 세계의 사람들이 이 막걸리를 기억할 수 있는 브랜드 로고, 심볼 디자인에 대해 고민을 했습니다.
한국의 호랑이, 한복, 건축양식과 한글 등 한국적인 요소를 글로벌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 스케치를 다양하게 고민해 봤었던거 같아요. 저는 그중에서 가수? 이날치의 이미지를 많이 상상하며 디자인을 했습니다. 패션이나 음악에서 세계에서 통하는 한국의 힙한 감성과 퓨전이미지를 계속 머리속에 되네이며 작업을 했습니다. 디자인도 지속적인 마인드컨트롤과 브랜드 이미지를 머리속에 쌓아가며 작업을 해야 디자인 몰입도가 높아지고 퀄리티도 방향성이 일정하게 유지가 되는거 같아요.
To develop carbonated makgeolli and traditional liquor brands, we first developed C.I, B.I, and LOGO designs.
The client company has an aspiration to promote Korean rice wine to the world, so I hope they don't insist too much on Korean! We thought about the brand logo and symbol design so that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can remember this makgeolli as a Korean yet global brand.
I think I've been thinking about sketching ideas on how to express Korean elements globally, such as tigers, hanbok, architectural styles, and Hangeul. Am I a singer among them? I designed it while imagining a lot of images of Inalchi. In fashion and music, I continued to work with the hip sensibility and fusion image of Korea that is common in the world in my head. When it comes to design, it seems that continuous mind control and brand image must be worked on in the head to increase immersion in design and to maintain a consistent direction for quality.












